|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 관련 진료정보교류시스템 복구 완료 및 조치 필요사항 안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인해 진료정보교류시스템 이용에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사고의 말씀 드립니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시스템 정상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 10월 21일부로 전체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의 복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다만, 지난 7월 29일 이후 생성된 일부 문서 데이터는 복구 중으로 조회가 어렵습니다. 이에 의료 현장 혼선을 최소화하고자 “조회 불가 데이터 현황 조회” 화면을 마련했습니다. 기관 로그인 후 아래 링크에 접속하면, 조회 불가 데이터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시스템 이용에 큰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깊이 사과드리며, 안정적인 진료정보교류시스템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조회 불가 데이터란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인가요? A1.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은 의료기관 간의 진료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해 문서저장소에 핵심 진료기록 문서(4종)을 전자적으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조회 불가 데이터는 핵심 진료기록(4종)과 각 문서에 첨부된 진료기록(영상정보 제외)을 의미합니다. ① 진료의뢰서: 환자를 다른 의료기관으로 보낼 때 작성하는 요약 진료 기록 ② 진료회송서: 의뢰받은 환자의 진료 결과를 회신하는 문서 ③ 진료기록요약지: 환자의 핵심적인 진료 정보를 요약한 기록 ④ 영상의학판독소견서: X-ray, CT, MRI 등 영상 검사에 대한 전문의의 판독 소견 Q2. 당장 진료해야 할 환자의 문서가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2. [조회 불가 데이터 현황 조회]에서 해당 문서가 조회 불가 대상인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기술적 한계로 조회 불가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까지는 정확하게 식별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점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송신” 조회불가 문서로 확인된 경우, 기존에 작성했던 의뢰(또는 회송)서를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통해 재송부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수신” 조회불가 문서로 확인된 경우, 문서를 발급했던 원 의료기관에 재의뢰 또는 재회송을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